본문 바로가기
디자인 실무/실무자료

디자인 기초 상식 - 가독성 높이는 방법? 강약 디자인의 중요성

by d-delay 2024. 2. 7.

강약 디자인 하는 방법


디자인에도 강약 조절이 있다 (Contrast Design)

노래나 미술,연극 등 예술적인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는 강약 조절이 디자인에도 있다는 사실 알고 있는가?

사실 강약 디자인은 모든 디자인에 필수 요소로 들어가야 하는 부분 중 하나다. 시각적 요소들 간의 다양한 대비를 활용하여 눈에 더 잘 들어올 수 있도록 하는데, 예시로 초점이 잘 잡힌 DSLR 카메라 렌즈는 배경을 흐리게 만들어서 특정 대상을 더욱 돋보이게 만들어 준다. 이처럼 강약 조절은 디자인에서 초점과도 같은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된다.

 

초점이 잘 잡힌 카메라 렌즈

대비(Contrast)

강약 디자인에 있어서 빠질 수 없는 개념은 바로 대비인데, 앞서 설명한 강약 디자인과 비슷한 맥락이며 강약 조절을 위해

대비적인 요소가 꼭 필요하다.  면적, 동시, 한난, 보색 대비 등 여러 가지 종류들이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색채 카테고리에서 자세하게 서술해 보겠다. 초보 디자이너가 알아야 할 가장 중요한 몇 가지 대비를 강약 조절로 풀어서 설명한다.


1.글씨의 강약

글씨는 디자인에서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기에 때론 한 줄이 들어갈 때도 있지만, 보통 정보 전달을 위해 많은 내용이 들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시로 디자인 시 제목과 부가적인 내용이 같은 선상에 위치한다고 했을 때 어떤 문장이 중요한지 보이지 않고 문구 전부 눈에 안 들어오는 상황마저 발생한다. 이런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글씨의 강약 조절이 필요하다.

글씨에서 1순위로 중요하게 보여야할 강조 포인트를 정하고 가장 잘 보일 수 있도록 두께(font-weight)와 사이즈(font-size)를 무겁게 설정한다. 그리고 순차적으로 2순위, 3순위 요소를 앞 순위와 비교했을때 가볍게 느껴지도록 작고 얇게 설정하면 된다.  

글씨의 강약

2.크기의 강약

각 요소에 여러 가지 콘텐츠(그룹요소)가 놓여있을 때 크기에 따라 어떤 콘텐츠가 더 강조될지 결정짓는 포인트가 된다.

가장 중요한 내용들을 레이아웃에 조금 더 크게 배치하여 강조하며,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부가적인 요소는 작게

설정하면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시야에 들어오게 된다. 혹시 내용이 없는 박스 형태의 콘텐츠라면 약간의 색상을 진하고 연하게 설정하여 보다 차이가 크도록 설정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색상에 관한 건 아래 내용에 설명을 추가하겠다.

크기의 강약

3.색상의 강약

브랜드 아이덴티티 혹은 상황에 따라 주로 사용해야 하는 색상이 달라지게 되는데, 대게는 디자인에서 여러 가지 색의 사용을 지양하는 편이다. 메인 컬러와 유사한 유사색 위주로 색상을 사용하고 부분적으로 강조를 하게 된다. 이때 특정 부분을 강조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있는데 앞 포스팅에서 설명했던 보색 개념을 사용하여 확실한 색 차이를 줄 수도 있고, 유사색을 유지한다면 톤 차이로 확실하게 구분을 줄 수 있다.

아래 예시 사진을 보면 약이라는 것이 기준 색상이라고 생각했을 때 왼쪽 그림처럼 보다 원색에 가까운 컬러로 강조를 줄 수 있지만 자주 반복된 다면 눈에 피로감을 줄 수 있다. 그럴 때는 오른쪽 그림처럼 아예 톤을 다운시켜 안정적인 구분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역시 두 가지 방법 상황에 따라 맞춰 가는 것이 좋다.

색상의 강약


디자인 참고사항

* 위 세 가지 방법을 적당히 섞어 사용하고, 각 요소별 차이를 크게 만들수록 강약 조절에 수월하다.  

보색의 강조

 

디자이너가 왜 알고 있어야 할까?

이러한 강약 조절은 들어가야 할 콘텐츠와 내용이 많아질수록 더욱 중요한데 강약을 고려하지 않으면 자칫하다간 지저분한 디자인으로 전락할 수 있다. 강약 디자인을 통해 요소들 사이의 명확히 구별을 하여 핵심 내용을 강조하고 정리하다보면 정보 전달이 잘되는 가독성 높은 안정적인 디자인을 만날 수 있다. 괜찮은 디자인을 결정짓는 포인트는 강약정리만 잘해도 평균 이상의 결과값이 나온다고 생각하는 터라 오늘의 포스팅을 꼭 숙지하고 기억하길 바란다.